신규상장소식
국내외 주요 거래소의 신규 상장 코인 정보를 확인하세요

네오는 듀얼 토큰 메커니즘(Dual Token Mechanism)을 최초로 채택한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플랫폼입니다. 듀얼 토큰 메커니즘 하에서는 거버넌스 참여에 대한 권리와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권리가 분리됩니다. 네오 토큰(NEO)은 거버넌스 참여에 대한 권리로서 사용되며, 모든 블록은 일정량의 가스토큰(GAS)을 생성합니다. 블록에서 생성된 GAS는 합의 과정에 참여한 노드들에게 재분배됨으로써 네트워크 참여에 대한 경제적 유인을 제공합니다.

스타게이트 파이낸스는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의 자산 전송 과정을 단일 거래 프로세스로 통합함으로써 블록체인 간의 상호운용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탄생한 크로스체인 브릿지입니다. 스타게이트는 델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브릿지를 위한 통합된 유동성 풀에서의 즉각적인 완결성을 보장하면서도 네이티브 체인 간 자산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브릿지 트릴레마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바운스토큰(AUCTION)은 바운스(Bounce) 분산 경매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바운스는 현재 이더리움 등의 메인넷을 지원하고 있으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스왑환경을 제공합니다. 바운스는 플랫폼, 토큰 발행, NFT 솔루션의 세가지 섹션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바운스는 유동성이 제한적인 토큰이나 NFT같은 디지털 자산들의 스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피스네트워크(Pyth Network)는 오프체인 금융 시장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 디앱들에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탈중앙화 오라클 인프라 프로젝트입니다. 피스 네트워크는 금융 데이터를 보유한 주체들인 퍼블리셔(Publisher)들로부터 오프체인 데이터를 받고, 해당 데이터들을 자체 알고리즘으로 모아 모든 데이터를 포괄하는 하나의 가격 피드(Feed)로 만들어 디앱들에 공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PYTH는 피스 네트워크 내 온체인 거버넌스 참여 등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알트레이어(Altlayer)는 롤업을 구축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들이 코딩 및 블록체인 기술 스택에 대한 지식이 없이 새로운 롤업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RaaS(Rollup as a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와 더불어 롤업에게 더 높은 보안, 탈중앙성, 상호호환성을 부여하는 AVS(Actively Validated Service) 인프라 또한 제공할 예정입니다. ALT는 알트레이어 내 스테이킹, 거버넌스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스페이스아이디는 웹3 생태계 내 여러 네임 서비스들을 등록, 거래, 관리할 수 있는 종합 웹3 네임 서비스 플랫폼입니다. 스페이스아이디를 통하여 이더리움, 아비트럼 등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이미 사용되는 네임 서비스들을 거래하거나 등록되지 않은 새로운 네임 서비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아이디의 유틸리티 토큰인 ID는 거버넌스 참여, 플랫폼 내 자산 거래 및 수수료 지불수단 등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아이디는 모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네임 서비스를 연결하는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미나는 영지식 증명을 활용하여 사용량 증가에 관계없이 블록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된 경량 블록체인 메인넷입니다. 블록의 전체 트랜잭션 기록을 모두 검증할 필요 없이 압축된 zk-SNARK 증명만을 검증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고, 노드들은 영지식 증명을 사용하여 보유한 데이터 용량을 줄이고 하드웨어 성능의 제약 없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MINA는 미나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자산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유틸리티 토큰이자 지분증명 스테이킹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뮤터블엑스는 NFT 발행과 거래에 특화된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의 레이어2 솔루션으로 NFT와 Web3 게임을 위한 다양한 API 및 개발자 도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뮤터블엑스의 유틸리티 및 거버넌스 토큰인 IMX는 이뮤터블엑스의 생태계에서 수수료를 지불할 때 사용되며 IMX 토큰 보유자는 IMX를 스테이킹하여 보상을 수령하고 거버넌스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블러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기반의 NFT 마켓플레이스로, 애그리게이터(Aggregator) 기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블러는 낮은 수수료를 기반으로 전문 트레이더를 위한 여러가지 거래 툴을 제공하여 빠르고 효율적인 NFT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BLUR 토큰은 마켓플레이스 수수료 등을 포함하여 플랫폼의 주요 사항에 대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거버넌스 용도로 활용됩니다.

더그래프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API의 형태로 쿼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탈중앙화 플랫폼입니다. 더그래프에는 개발자(Developer), 인덱서(Indexer), 큐레이터(Curator), 위임인(Delegator)의 4가지 생태계 구성원이 존재하며 이들은 데이터 쿼리 과정에 유기적으로 참여합니다. 더그래프의 유틸리티 토큰인 GRT는 플랫폼 내에서 데이터 쿼리를 위한 지불수단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인덱서, 큐레이터 등으로 생태계에 참여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GRT 의 국문명 표기는 기존 \'그래프\'에서 \'더그래프\'로 변경되었습니다.

2022년 엘론드(Elrond)에서 리브랜딩한 멀티버스엑스는 샤딩을 통해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레이어 1 블록체인 메인넷입니다. 멀티버스엑스는 적응형 상태 샤딩 뿐만 아니라 보안지분증명 합의 프로토콜과 WASM 기반의 멀티버스엑스 가상머신을 도입하여 네트워크 효율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EGLD는 멀티버스엑스에서 활용하는 디지털 자산으로, 스테이킹을 통한 검증인 참여 및 트랜잭션 수수료 지불 용도로 사용됩니다.

아비트럼(Arbitrum)은 이더리움 기반의 레이어 2 솔루션으로, 옵티미스틱 롤업과 AnyTrust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이더리움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아비트럼은 트랜잭션의 실행(execution)만을 담당해 이더리움의 보안성과 탈중앙성을 희생하지 않고도 더 빠르게 저렴한 온체인 활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ARB는 One, Nova, Orbit을 아우르는 아비트럼 생태계에서 거버넌스 용도로 활용되는 디지털 자산입니다.

마스크네트워크(Mask Network)는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상에서 암호화된 메세지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마스크네트워크는 웹3로 가는 과도기에서 교각 역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P2P(Peer to Peer) 전송 및 탈중앙화 지갑의 기능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MASK는 프로토콜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자산으로, 거버넌스의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시바이누(SHIB)는 일본계 개발자임을 주장하는 \'Ryoshi\'에 의해 100% 커뮤니티 주도로 구동되는 디지털 자산 프로젝트를 지향하며 탄생했습니다. SHIB은 최초에 1,000조개가 발행된 후 더 이상 발행되지 않는 디지털 자산으로, 일련의 분배과정을 통해 현재 탈중앙화된 토큰 분배를 이루고 있습니다. 시바이누 프로젝트는 공식적인 주체에 의해 운영되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아래의 홈페이지, 텔레그램, 트위터, 백서 등은 공식적인 주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아님을 안내드립니다.

STEPN은 솔라나 메인넷 기반으로 구동되며, 뛰거나 걷는 행위, NFT 등의 요소가 결합된 R2E(Run to Earn), M2E(Move to Earn)프로젝트입니다.
유저는 NFT 마켓 플레이스에서 운동화 NFT를 SOL을 지불하여 구입할 수 있습니다. STEPN 앱 구동 후 해당 운동화 NFT를 장착한 상태에서 현실 세계에서 걷거나 뛰면 GPS 인식 등에 의해 이에 대한 보상으로 GST 토큰을 지급하는데, GST 토큰을 STEPN 앱 내에서 GMT로 스왑할 수 있습니다. GMT 토큰은 STEPN 생태계 내 네이티브 토큰으로서 NFT 신발의 레벨업, 민팅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향후 스테이킹, 거버넌스 등 기능을 확대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