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상장소식
국내외 주요 거래소의 신규 상장 코인 정보를 확인하세요

엑스와이오(XYO) 네트워크는 위치검증(Proof of Location)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솔루션입니다. XYO의 기술은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치 조작을 방지하며, 파트너에게 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특정 위치로 실제 이동을 하였는지를 검증하여 GameFi 프로젝트에 쓰일 수 있습니다. 또한 원본증명(Proof of Origin)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 솔루션은 생성된 데이터의 출처, 순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엑스와이오(XYO)는 XYO 네트워크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데이터 제공자 보상과 서비스 이용료 용도로 쓰입니다.

그래스(Grass)는 사용하지 않는 인터넷 대역폭을 기업과 연구 기관에 제공하고, 그 대가로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소유권 형태의 보상을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공유되지 않으며, 설치는 간단합니다. Grass는 사용자에게 인터넷 경제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부여하고, 기업은 이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 필요한 대역폭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대역폭 공유를 중단할 수 있으며, Grass는 사용자의 인터넷 경험을 방해하지 않고 안전합니다. 핵심은 사용하지 않는 대역폭 공유를 통해 보상을 받고, 사용자가 인터넷 네트워크의 소유권을 갖게 된다는 점입니다.
GRASS는 스테이킹, 보상의 수단으로 이용됩니다.

펌프(PUMP)는 비트코인 유동성 리스테이킹 플랫폼 펌프비티씨(PumpBTC)의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펌프비티씨는 바빌론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비트코인을 스테이킹하고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스테이킹된 비트코인에 대한 유동성을 제공하는 LRT(Liquid Restaking Token)인 PUMPBTC를 발행하여, 이를 통해 다양한 디파이 플랫폼에 활용이 가능합니다. 펌프비티씨는 비트코인 보유자에게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하고, 디파이 생태계에서 비트코인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UMP는 펌프비티씨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리워드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UMP는 펌프비티씨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리워드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커널 다오(Kernel DAO)는 비앤비 체인 내 혁신을 이끄는 선두 주자로서 암호경제적 보안을 재해석하는 리스테이킹 프로토콜을 도입했습니다. 커널의 핵심은 비앤비(BNB) 토큰 보유자가 리스테이킹 메커니즘을 통해 보유한 자산의 유틸리티를 확장할 수 있게 한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바탕으로 BNB를 스테이킹한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BNB를 통해 혹은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을 통해 커널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자산을 추가적으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
KERNEL은 자체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생태계 내 서비스 용도로 사용됩니다.

월렛커넥트(WalletConnect)는 2018년에 출시된 오픈소스 프로토콜로, 사용자가 가상자산 지갑을 dApp과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웹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QR 코드 스캔이나 링크를 통해 지갑과 dApp을 손쉽게 연결하고, 지갑 내에서 거래를 승인할 수 있습니다. Wallet Connect는 최근 WCT를 도입하여 네트워크의 탈중앙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WCT는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스테이킹, 보상 및 향후 수수료로 쓰이는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예정이며 OP 메인넷에서 발행됩니다.

밸런스(Balance)는 인공지능과 웹3의 대규모 상용화 인프라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입니다. Epal이라는 게이밍 소셜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웹3 및 웹2 게임에 제공하는 퍼블리싱 서비스와 더불어, 개발자를 위한 체인 및 ID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SaaS 서비스로 이에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EPT는 자체 유틸리티 토큰으로 생태계 내 서비스 결제, 거버넌스, 리워드로 사용됩니다.

바빌론(Babylon)은 비트코인 스테이킹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레이어1 프로젝트입니다. 비트코인을 브릿지하거나 랩핑하지 않고도 네이티브 방식으로 스테이킹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PoS 체인의 경제적 안정성을 지원합니다. 비트코인은 스크립트를 통해 타임락(Time Lock)으로 스테이킹하는 사용자 지갑에 묶이게 되며, 타 주소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또한 PoS 체인의 데이터를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타임스탬핑에 기록하여 보안성과 무결성을 강화합니다.
BABY는 바빌론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메인넷 트랜잭션 수수료와 스테이킹, 거버넌스에 사용됩니다.

라그랑주(LA)는 영지식 증명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프로젝트입니다. 효율적인 오프체인 연산을 위한 ZK Coprocessor와 이러현 연산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탈중앙화된 ZK Prover Network가 존재합니다. 또한 AI 분야와의 융합을 위한 zkML 및 DeepProve 기술 등을 통해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LA는 Lagrange 네트워크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클라이언트 사용 수수료 및 스테이킹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앰프(AMP)는 Flexa 네트워크에서 거래를 보증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Flexa 네트워크는 가상자산으로 빠르고 안전한 결제를 지원하며, AMP는 거래 과정에서 담보 역할을 해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낮은 수수료와 글로벌 사용성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는 AMP를 스테이킹하여 네트워크에 기여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가상자산의 실제 결제 활용성을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렌조 프로토콜(Renzo Protocol)은 아이겐 레이어의 리스테이킹을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으로 아이겐 레이어 생태계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미들웨어 인프라에 보안을 제공하고 ETH 네이티브 스테이킹 보다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렌조 프로토콜은 네이티브 리스테이킹 방식을 채택한 LRP로서 유저에게 ETH를 예치받아 직접 이더리움 네트워크 노드를 구동하고 이를 통해 추가적인 보상을 위해 리스테이킹을 진행하는 유저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리스테이킹을 지원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REZ는 스테이킹, 리워드 등에 이용됩니다.

오르카(Orca)는 Solana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거래소(DEX)입니다. Solana 네트워크 상에서 간편하게 토큰을 스왑하거나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집중형 유동성 AMM (Concentrated Liquidity Automated Market Maker, CLAMM) 알고리즘으로 사용자들에게 빠르고 저렴한 거래 환경을 제공합니다.
ORCA는 Orca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월러스(Walrus)는 수이(Sui)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탈중앙화 데이터 스토리지 프로토콜입니다. 레드 스터프(Red Stuff) 인코딩 방식을 활용하여 큰 용량의 데이터 및 미디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저장,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데이터 복구에도 장점을 가집니다. 데이터를 작은 조각으로 분산하여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가용성을 극대화하고 검열 저항성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WAL은 월러스 프로토콜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스테이킹, 거버넌스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블루핀(Bluefin)은 전문 트레이더와 초보 트레이더 모두를 위해 구축된 탈중앙화 오더북 기반 거래소로 보안, 투명성, 온체인 거래 플랫폼 사용자 경험을 재정의하는 데에 중점을 둔 플랫폼입니다. Polychain, SIG, Brevan Howard Digital, Tower Research 등의 기업으로부터 후원을 받고있습니다.
BLUE는 블루핀 네트워크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포켓 네트워크(Pocket Network)는 탈중앙화 RPC(Remote Procedure Call)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들웨어 인프라 프로토콜입니다. 개인 또는 단체가 자신의 서버에 포켓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RPC를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dApp에서 RPC 요청을 보내면 프로토콜에서 가장 적합하고 신뢰할 수 있는 노드를 찾아 해당 요청을 연결시켜줍니다. 공식 docs에 따르면 현재 약 50개 정도의 체인에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POKT는 Pocket Network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서비스 사용 수수료, 트랜잭션 수수료, 스테이킹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