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상장소식
국내외 주요 거래소의 신규 상장 코인 정보를 확인하세요

스페이스 앤드 타임(Space and Time)은 SQL 증명 기반의 탈중앙화 데이터 쿼리 프로젝트로, 현재 산업에서 솔루션이 부재한 탈중앙화 쿼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주요 블록체인 데이터를 로드하고, ZK 증명을 도입한 검증된 고성능, 변조 방지 및 커뮤니티 기반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형태로 스마트 컨트랙트에 대한 쿼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SXT는 자체 유틸리티 토큰으로, 데이터 쿼리 인프라 공급자에 대한 리워드 및 인프라 수수료로 활용됩니다. 또한 노드 스테이킹에 담보금으로 활용됩니다.

Kaito는 AI 기반 Web3 정보 플랫폼으로, 가상자산 생태계의 정보(Information), 관심(Attention), 자본(Capital)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InfoFi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KAITO는 Kaito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서비스비용 지불 수단, 거버넌스, 스테이킹 용도로 활용됩니다.

하이퍼레인(Hyperlane)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간 상호운용성을 위한 크로스체인 통신 프로토콜로서, 중앙화된 중개자의 사전 승인 없이 서로 다른 체인 간 메시지 전달 및 자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하이퍼레인은 Layer 1, 롤업, 앱체인 등 체인의 유형, 환경과 관계없이 누구나 배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어떤 블록체인에서든 접근 가능한 인터체인 애플리케이션(Dapp)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HYPER는 하이퍼레인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스테이킹 용도로 활용됩니다.

파티클 네트워크(Particle Network)는 블록체인 생태계의 복잡성을 해결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체인 추상화 프로젝트입니다. 모든 체인에서 단일 계정과 통합된 잔액을 제공하는 유니버설 계정(Universal Accounts, UA)을 통해 웹 3.0 전반에 걸쳐 사용자와 유동성을 원활하게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파티클 네트워크는 사용자들이 복잡한 블록체인 환경에서 벗어나 쉽고 편리하게 탈중앙화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PARTI는 파티클 네트워크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네트워크 수수료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카우 프로토콜은 사용자의 거래 의도(Intent)를 기반으로 주문을 생성하고, 여러 거래 트랜잭션을 하나의 묶음(Batch)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가장 유리한 가격을 제공하는 DEX 유동성 애그리게이터(Aggregator)입니다. COW는 카우 프로토콜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및 가장 효율적인 묶음거래 처리방식을 제안한 Solver에 대한 보상 용도로 활용됩니다.

해달 프로토콜(Haedal Protocol)은 Sui 블록체인 상의 리퀴드 스테이킹 플랫폼입니다. 사용자는 SUI 토큰을 스테이킹하면 haSUI라는 유동성 토큰을 받아 디파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은 자동으로 최적의 밸리데이터에게 분산되어, 안정성과 수익률을 높입니다. haSUI는 다양한 DEX나 렌딩 프로토콜에서 사용가능하며, 스테이킹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사인(Sign)은 토큰 분배와 온체인 자격 증명 검증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입니다. 사인은 사용자가 온체인에서 자유롭게 정보를 증명하고 검증할 수 있는 옴니체인 증명 프로토콜을 제공하며 디지털 서명된 데이터를 온체인 또는 오프체인에 안전하게 저장하여 다양한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또한 EthSign, TokenTable 등과 같은 서비스를 통해 디지털 계약 체결과 토큰 소유권 관리를 지원하여 자격 증명과 신뢰 구축에 최적화된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SIGN은 사인 생태계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생태계 내 수수료, 스테이킹, 거버넌스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발론은 비트코인을 담보로 CDP(담보부 부채 포지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된 렌딩 프로토콜입니다. 아발론은 크로스체인 인프라를 통해 스마트 컨트랙트 구현이 어려운 비트코인을 온체인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구현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는 100% 비트코인 담보 스테이블코인인 USDa를 발행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USDa 발행 외에도 고정 금리 대출 및 유동성 공급 등 다양한 프로토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발론의 고유자산인 AVL은 플랫폼 수수료 할인과 거버넌스 투표에 활용됩니다.

사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온체인 데이터 증명(attestation) 서비스 Sign Protocol, 에어드랍 및 토큰 베스팅 프로덕트 TokenTable, 디지털 신원 인증 서비스 SignPass, 블록체인 기반 전자 계약 서명 서비스 EthSign 등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SIGN은 사인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스테이킹 등에 활용됩니다.

에이아이식스틴즈(ai16z)는 벤처 펀드를 운용하는 DAO 프로젝트로 커뮤니티와 앤드리슨 호로위츠의 파트너 Marc Andreessen의 투자결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의 의사결정을 결합하는 절차를 통해 자금을 운용합니다. ‘Eliza OS’라고하는 AI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통해 AI 에이전트 개발, 운용, 관리할 수 있는 유연한 기술 스택을 제공하며, 직접 만든 에이전트를 소셜 플랫폼(디스코드, X, 텔레그램, 인스타그램)에 연동하여 활용가능합니다.
AI16Z는 Eliza OS 생태계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AI 서비스 수수료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엑스와이오(XYO) 네트워크는 위치검증(Proof of Location)을 제공하는 비즈니스 솔루션입니다. XYO의 기술은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위치 조작을 방지하며, 파트너에게 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이 기능은 특정 위치로 실제 이동을 하였는지를 검증하여 GameFi 프로젝트에 쓰일 수 있습니다. 또한 원본증명(Proof of Origin)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 솔루션은 생성된 데이터의 출처, 순서의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엑스와이오(XYO)는 XYO 네트워크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데이터 제공자 보상과 서비스 이용료 용도로 쓰입니다.

그래스(Grass)는 사용하지 않는 인터넷 대역폭을 기업과 연구 기관에 제공하고, 그 대가로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소유권 형태의 보상을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공유되지 않으며, 설치는 간단합니다. Grass는 사용자에게 인터넷 경제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부여하고, 기업은 이를 통해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 필요한 대역폭을 얻을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대역폭 공유를 중단할 수 있으며, Grass는 사용자의 인터넷 경험을 방해하지 않고 안전합니다. 핵심은 사용하지 않는 대역폭 공유를 통해 보상을 받고, 사용자가 인터넷 네트워크의 소유권을 갖게 된다는 점입니다.
GRASS는 스테이킹, 보상의 수단으로 이용됩니다.

이니시아(Initia)는 여러 앱체인들이 가진 고립성과 상호운용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여 멀티체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Cosmos 기반 Layer 1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Initia 메인넷과 Initia 메인넷을 기반으로 하는 Layer2를 구축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지원합니다. INIT은 Initia 메인넷의 네이티브 유틸리티 토큰으로, 트랜잭션 수수료, 스테이킹, 거버넌스 용도로 활용됩니다.

펌프(PUMP)는 비트코인 유동성 리스테이킹 플랫폼 펌프비티씨(PumpBTC)의 유틸리티 토큰입니다. 펌프비티씨는 바빌론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비트코인을 스테이킹하고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스테이킹된 비트코인에 대한 유동성을 제공하는 LRT(Liquid Restaking Token)인 PUMPBTC를 발행하여, 이를 통해 다양한 디파이 플랫폼에 활용이 가능합니다. 펌프비티씨는 비트코인 보유자에게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하고, 디파이 생태계에서 비트코인의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UMP는 펌프비티씨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리워드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UMP는 펌프비티씨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리워드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월렛커넥트(WalletConnect)는 블록체인 지갑과 디앱(DApp) 간의 안전한 연결을 지원하는 탈중앙화 사용자경험(UX) 플랫폼으로, 웹3.0 서비스 사용자들이 디앱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브라우저 확장 설치, 체인 변경, 인증 절차 등의 복잡한 절차를 표준화하고, 디앱이 제공하는 QR 코드를 스캔하는 것만으로도 디앱과 지갑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Web3.0 온보딩 과정을 간소화합니다. WCT는 월렛커넥트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스테이킹, 거버넌스, 수수료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커널 다오(Kernel DAO)는 비앤비 체인 내 혁신을 이끄는 선두 주자로서 암호경제적 보안을 재해석하는 리스테이킹 프로토콜을 도입했습니다. 커널의 핵심은 비앤비(BNB) 토큰 보유자가 리스테이킹 메커니즘을 통해 보유한 자산의 유틸리티를 확장할 수 있게 한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바탕으로 BNB를 스테이킹한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BNB를 통해 혹은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을 통해 커널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자산을 추가적으로 할당할 수 있습니다.
KERNEL은 자체 유틸리티 토큰으로, 거버넌스, 생태계 내 서비스 용도로 사용됩니다.

월렛커넥트(WalletConnect)는 2018년에 출시된 오픈소스 프로토콜로, 사용자가 가상자산 지갑을 dApp과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웹 또는 모바일 환경에서 QR 코드 스캔이나 링크를 통해 지갑과 dApp을 손쉽게 연결하고, 지갑 내에서 거래를 승인할 수 있습니다. Wallet Connect는 최근 WCT를 도입하여 네트워크의 탈중앙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WCT는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스테이킹, 보상 및 향후 수수료로 쓰이는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할 예정이며 OP 메인넷에서 발행됩니다.

밸런스(Balance)는 인공지능과 웹3의 대규모 상용화 인프라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입니다. Epal이라는 게이밍 소셜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웹3 및 웹2 게임에 제공하는 퍼블리싱 서비스와 더불어, 개발자를 위한 체인 및 ID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SaaS 서비스로 이에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EPT는 자체 유틸리티 토큰으로 생태계 내 서비스 결제, 거버넌스, 리워드로 사용됩니다.

커널 다오는 가상자산 리스테이킹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프로젝트로, BNB Smart Chain 기반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Kernel\', Ethereum 및 EigenLayer 기반 LRT 솔루션 \'Kelp LRT\', 자동화된 볼트 기반의 수익 창출 서비스 \'Kelp Gain\'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KERNEL의 토큰 유틸리티는 Kernel, Kelp LRT, Kelp Gain 생태계에 대한 거버넌스 수단, 스테이킹 등입니다.

바빌론(Babylon)은 비트코인 스테이킹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레이어1 프로젝트입니다. 비트코인을 브릿지하거나 랩핑하지 않고도 네이티브 방식으로 스테이킹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PoS 체인의 경제적 안정성을 지원합니다. 비트코인은 스크립트를 통해 타임락(Time Lock)으로 스테이킹하는 사용자 지갑에 묶이게 되며, 타 주소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또한 PoS 체인의 데이터를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타임스탬핑에 기록하여 보안성과 무결성을 강화합니다.
BABY는 바빌론의 유틸리티 토큰으로, 메인넷 트랜잭션 수수료와 스테이킹, 거버넌스에 사용됩니다.